인플레이션과 필립스 곡선
인플레이션 비용같은 내용은 쉬우니 생략하고 피셔효과와 멘델 토빈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통화량 증가시 LM 곡선은 하방이동하는데요 이때 R이 감소하여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죠. 이후 M증가분만큼 기대 인플레이션 또한 상승한다면 IS가 LM이 하방이동한만큼 상승할것입니다. 만악 장기적으로 IS선에서 R이 결정된다면 실질이자율은 일정하다는 내용이 피셔효과이죠 하지만 단기에서는 내용이 다릅니다. 이를 멘델 토빈효과라고 하는데요기대 인플레이션 증가 시 단기적으로는 R의 상승폭이 더 작아 실질이자율이 하락하죠. 하지만 장기에는 물가의 조정으로 실질이자율에는 변함이 또 없답니다. 맨 아래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의도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통화량을 찍어 인플레이션을 만든 뒤 그 인플레이션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죠. 즉 인플레..
거시경제학
2024. 12. 23.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