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입저지게임
미시경제학에서 스타켈버그 모형을 배울때 우리는 진입기업의 진입비용이 없다는 것을 가정하고 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독점기업은 경쟁이 생겼죠 하지만 진입비용이 존재한다면 2가지 케이스가 있는데요 1. 진입을 허용하고 경쟁을 할 것이냐2. 무리하게라도 진입을 저지한 후 독점을 유지할 것이냐진입을 허용하게 된다면 기존 스타겔버그 논리와 동일합니다. 하지만 진입을 저지할시에는 조금 다른데요. 진입기업의 이윤이 0 이하이게 만드는 생산량을 기존 독점기업이 선택합니다.그 이후 시장에서 독점력을 행사할 수 있는것이죠. 이 두가지 경우의 이윤을 비교해서 독점기업은 진입을 저지하던가 허용을 합니다.숫자 예시를 들어볼게요. 진입을 수용할 경우에 기존 스타켈버그 논리로 독점기업은 800의 이윤을 얻게 되었습니다. 하..
산업조직론
2024. 11. 23. 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