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평합병

산업조직론

by 반짝이던별이야기 2024. 11. 23. 21:24

본문

수평합병 (기업결합)은 합병한 기업의 시장지배력을 증가시켜 가격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합병으로 인해 생산을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다면 가격이 낮아지는 효율성 증대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충관계를 분석해보죠

 

 

우선 기업이 2개 있을때 mc의 변화 없이 합병을 한다면 사회후생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효율성 증대효과가  커서 가격이 낮아지고 한계비용도 감소한다면 사회후생은 증가하죠

 

하지만 효율성 증대효과가 작다면? 한계비용 감소로 인한 비용감소와 p 증가로 인한 사라진 효용을 비교해야합니다.

 

즉 기업의 결합을 조사할때 이것이 사회후생에 도움이 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는것이죠

 

 

그렇다면 기업 관점에서 합병을 할 유인이 있는지 확인해보죠

우선 효율성 증대효과가 없을때입니다.

합병 전 이윤보다 합병 이후 이윤이 높아야 하므로 위와 같은 식이 성립해야 합니다.

 

증대효과 존재시를 분석해보죠 우선 기업 3개시 합병전은 위와 같은데요

 

만약 합병한다면 한계비용이 c'으로 감소한다면?

계산을 해보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죠

 

여기서 사회후생 확인을 위해 3가지 조건을 체크해볼 필요가 있는데요

1. 과연 합병 이후에도 3번째 기업이 시장에 있을것인지

2. 기업이 합병을 할것인지

3. 합병 이후에 가격이 하락할것인지

 

 

노란색이 생각보다 잘 안보이는군요..

 

우선 합병 이후 기업이 시장에 남아있지 않는 경우를 보죠

퇴출된 이후 합병기업의 독점가격과 합병 이전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합병기업의 가격이 더 낮습니다.

가격이 낮아지고 한계비용도 낮아졌으므로 사회후생은 증가한것이죠

 

그 다음 합병+가격도 하락 기업 3이 퇴출되지 않는다면?

여전히 가격 떨어지고 mc도 하락했으므로 사회후생은 증가하죠

 

마지막으로 합병+가격이 오름+ 퇴출되지 않는 경우

가격이 올라서 이거는 체크가 필요합니다

 

c와 c' 평면에 1,2,3 조건들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데요 위에서 분석했듯이 사회후생이 증가하는 영역은 하늘색과 빨간선 사이에 영역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산업조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직제한  (0) 2024.11.24
수직결합  (1) 2024.11.24
연구개발과 기술혁신  (0) 2024.11.23
담합  (1) 2024.11.23
진입저지게임  (0) 2024.11.23

관련글 더보기